경제신문스크랩

[경신스] 뉴욕증시 데뷔 쿠팡, 공모가보다 40.7% 상승…시총 100조원

s2somang 2021. 3. 12. 15:51

트렌트 : 파란색 / 수치적 근거 : 빨강색 

 

 

뉴욕증시 데뷔 쿠팡, 공모가보다 40.7% 상승…시총 100조원(종합2보)
올해 뉴욕증시 IPO 기업 중 최고 실적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황희경 기자 =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쿠팡 주식이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14.25달러) 오른 49.2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쿠팡 주식의 시초가는 공모가에서 81.4%나 상승한 63.50달러였다.
장중 69.0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 상승 폭이 줄었고, 장 막판 50달러 선을 내줬다.


야후 파이넌스에 따르면 쿠팡의 시총은 종가 기준으로 886억5천만 달러(한화 약 100조4천억원)를 기록했다.
쿠팡은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45억5천만달러(약 5조1천678억원)를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쿠팡 IPO는 2019년 우버 이후 뉴욕증시 최대 규모로 2014년 알리바바 이후 미국에 상장된 최대 규모 외국 기업이 됐다.
쿠팡이 올해 뉴욕증시 IPO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함에 따라 손정의(孫正義·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은 상당한 투자이익을 거두게 됐다.
소프트뱅크 측은 2015년과 2018년에 모두 30억달러를 투자해 기업공개 후 클래스A 기준 지분 37%를 보유하게 된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의 지분 가치는 첫날 종가 기준으로 280억달러(약 31조6천억원)에 달한다. 이는 투자금액 대비 9.3배 규모다.
지분 10.2%를 보유한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지분 가치 역시 85억7천여만달러(약 9조6천805억원)로 뛰었다. 다만, 김 의장 보유 지분은 유통되지 않는 클래스 B 주식을 총주식 수에 포함했을 때 계산한 결과다. 김 의장은 클래스 B 주식을 클래스 A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의결권이 줄어든다.
김범석 의장은 로이터통신에 "우리는 인프라와 기술에 수십억달러를 더 투자하고 5만 개의 추가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쿠팡의 IPO 대상 주식은 1억3천만 주로 NYSE에서 'CPNG'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된다.

 

 

본문의 근거 (객관적인 수치)

쿠팡의 IPO 대상 주식은 1억3천만 주로 NYSE에서 'CPNG'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

시총은 종가 기준으로 886억5천만 달러(한화 약 100조4천억원)를 기록

45억5천만달러(약 5조1천678억원)를 조달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쿠팡 주식이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14.25달러) 오른 49.25달러에 거래를 마감

시초가는 공모가에서 81.4%나 상승한 63.50달러

뉴욕증시 데뷔 쿠팡, 공모가보다 40.7% 상승…시총 100조원(종합2보)

 

 

추가조사 할 내용 또는 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아시아 기업 중에선 알리바바 이후 7년 만에 최대 규모

쿠팡은 ‘한국의 아마존’으로 불리면서 미국 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하는 데 성공

 

 

 

적용할 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연관기사 링크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512245

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menuSeq=529&subMenu=economy&wowcode=&Class=&articleId=AKR20210312080900022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215952

 

 

 

요약 및 의견

쿠팡이 처음 나올때만 해도 아마존처럼 성공할 것인가? 이런말이 있었는데 결국 가까워지고있는 것 같다. 

배달의 민족만 사용하던 나도 요새는 쿠팡이츠를 사용하고있고

네이버페이만 사용했었는데 쿠팡 로켓배송을 애용하고있다.

 

 

 


증시공부를 하고싶었는데 이런 기사를 보면서 흐름을 보는 것도 좋은 것 같다.

매일 새로운 내용을 알게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