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에 제로초님의 강의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
[ 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
https://www.inflearn.com/course/web-game-react
강의를 듣는데, 퍼블리싱을 했던 사람들에게는 컴포넌트라는게 이해하기 힘들수있다고 하신걸 들었다.
살짝 걱정되긴하는데,,, 다른것도 많이 했었으니까..!!
Reac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ead태그안에 아래와같은 코드를 입력해주어야한다.
<script src="https://unpkg.com/react@16/umd/react.development.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react-dom@16/umd/react-dom.development.js"></script>
<div id="root"></div> <!-- 결과 : <div id="root"><button>Like></button> </div>-->
<script>
const e = React.createElement;
// class하나가 컴포넌트 하나라고 보자구..
class LikeButton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super(props);
}
// render() : 태그를 만들어주는 함수, 화면을 어떻게 보여줄것인지
// (<button>Like></button>를 만들겠다!)
render(){
return e('button', null, 'Like');
}
}
</script>
<script> // 위에 #root에 그린다!
ReactDOM.render(e(LikeButton), document.querySelector('#root'));
</script>
render ()
태그를 만들어 주는 함수,
화면을 어떻게 보여줄것인지 나타내주는 함수로 위에서는 결국 <button>Like</button>을 만들겠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ReactDOM
(대소문자 주의)
실제로 화면을 그려주는 역할을 한다. #root위에 그려주겠다 라고 생각해야한다.
'개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1-9 함수형 setState + Fragment (0) | 2022.02.19 |
---|---|
[React] 1-7 (클래스 메서드 )구구단 리액트로 만들기(2) (0) | 2022.02.18 |
[React] 1-6 구구단 리액트로 만들기(1) (0) | 2022.02.17 |
[React] 1-4 JSX와 바벨(babel) (0) | 2022.02.16 |
[React] 1-3 HTML 속성과 상태(state)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