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을 알고싶다면?
https://somang-dev.tistory.com/58
[Flutter](mac)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flutter 프로젝트 시작하기
(* SDK가 설치되어 있어야합니다.) 설치 및 설정하기 https://somang-dev.tistory.com/57 [Flutter] 플러터 Mac 환경 변수 설정하기 미니프로젝트로 flutter를 이용해서 앱을 만들기로 했다. 사용해보면 좋을거라.
somang-dev.tistory.com
위에서 새로운 플루터 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로 앱을 실행해보자
에뮬레이터(emulator) : 앱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장치
생성된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상단을 보면 안드로이드 모양이 있는 스마트폰 아이콘이 있다.
( AVD Manager : 안드로이드 가상 장치관리자)
클릭해주자
아래와 같이 안드로이드 가상 장치 관리 화면이 나온다면 Create Virtual Device를 클릭해 새로운 장치를 생성해주자.
하드웨어 선택하는 창이 나오면 원하는 장치를 선택후, 기종을 선택해준다.
이름옆의 구글플레이스토어 아이콘이 있는것은 플레이 스토어를 이용해 앱을 설치할 수 있다는 의미다.
나는 4를 선택해보았다.^^
안드로이드 가상 장치에 설치할 시스템 이미지( 안드로이드 SDK 버전)를 선택한다.
제일 최신버전이라 R옆이 다운로드를 이용해 설치해준 후 바로 다음으로 넘어간다.
설치후 next를 눌러 설정한 가상장치 설정을 확인 한 후 finish를 눌러 설정을 끝내준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Action에 있는 실행버튼을 눌러주면 에뮬레이터가 실행된다.
(만약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오른쪽 메뉴중 전원아이콘을 눌러주자)
위방법처럼 실행해봤다면, 계속 이렇게 실행해야하냐고! 싶겠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오른쪽 상단메뉴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no device selected>라고 나와있는데, 이 버튼을 클릭해 어뮬레이터나 실행시키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해주면 해당기기로 연결된다. 그리고나서 초록색 실행 버튼을 클릭해주면 실행이 된다.
'개발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mac)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flutter 프로젝트 시작하기 (0) | 2022.01.30 |
---|---|
[Flutter] 플러터 Mac 환경 변수 설정하기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