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경제신문 스크랩중 'AWS'와 관련된 기사를 많이 접하게 되었다.
AWS (Amazon Web Service )
아마존 웹 서비스.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
클라우드 서비스
보통 프로그램 개발시 해당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서버, DB등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비용과, 공간같은 조건들이 필요하다.
그런데 AWS를 사용하면 이런 조건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것은 바로 '클라우드'덕분이다.
클라우드를 알아보기 위해 유튜브를 찾아보다 좋은 예시를 발견했다.
유튜브 주소 : www.youtube.com/watch?v=IH7mUwunzlo&t=88s
내가 다니는 회사가 외국으로 파견을 나가게 되었다.
이때 한 건물을 통채로 빌리는 방법과 호텔을 빌려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건물
한 건물을 빌리는 경우에는 필요이상의 구역도 빌려야해 비용이 많이든다.
또, 직접 청소하고,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업무외적인 노동이 필요해진다.
호텔
호텔은 어떤가? 청소해주시는 분도 계시고 룸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직원들은 맡은 업무에만 치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한 방만 빌려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도 저렴하다!
회사는 재정적 여건과 업무 특성에 따라 둘중에 선택하게 되는데
건물을 빌리는 경우가 자사에 서버를 두고 관리하는 전통적인 on- premise(온프레미스)방식
호텍을 사용하는 경우가 제공사의 서버를 빌려서 사용하는 클라우드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는 AWS , Google Cloud Platform, Azure, 네이버의 Naver Cloud Platfom가 있다.
클라우드역시 제공하는 회사의 데이터센터안에 서로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가 있다.
on-premise방식처럼 서버를 사용자에게 직접 가져다 주는 것이 아닌, 필요한 만큼만 떼어 나눠준다.
수시로 변화하는 회사나 기관, 그리고 개인에게 클라우드는 매력적이다.
이런 클라우드는 또 3가지로 나뉘기도 한다.
Iaas
Paas
Saas
✨ Iaas (Infrastucture as a Service)
하드웨어 자원의 일부를 떼어주는것.
클라우드에서는 하드웨어만 관리하고, 내가 직접 가상서버 하나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
클라우드들의 대표적 상품
AWS , 구글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같은 infrastructure(사회기반시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장 기본단계
사용자에게 네트워킹 하드웨어, 서버 등의 인프라를 빌려서 사용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인프라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aas (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이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
내가 신경쓸 필요없이 가상컴퓨터도 클라우드가 관리해줌 ▸ 나는 소프트웨어만 만들어 올리면 됨! (편안~)
Iass가 제공하는 것들에 추가로 운영체제, 미들웨어 및 개발도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체 웹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사용자들이 바로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에버노트, 드랍박스, 구글닥스, 온라인페이, SNS, 이메일, 유튜브, Adobe Creative(세상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안전한 웹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제공하고 관리해 사용자는 로그인해서 사용하기만 하면된다.
이런 서비스들은 보통 구독 형태로 구매할 수 있고, 최근 주목받는 재택근무 , 원격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참고 )
'공부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용어정리 ] Git-flow (1) | 2021.05.17 |
---|---|
[ 용어정리 ] ORM (0) | 2021.04.30 |
[용어정리] printf 서식지정자 (0) | 2021.04.07 |
[용어정리] SPA ? (0) | 2021.03.23 |
[용어정리] POJO (0) | 2021.03.11 |